스타인웨이 165주년 '거장을 만나다' ㈜코스모스악기와 함께하는 2018 서울국제음악제 마스터클래스 요강
1. 목적 : 세계 전역에서 활발한 연주활동과 후학양성에 힘쓰고 있는 아티스트들의 마스터클래스를 통하여 한국의 클래식음악 유망주들이 해외 명연주자를 사사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. 2. 일시 : 10월 31일(수) ~ 11월 7일(수) 중 4일 -10/31(수) -11/02(금) -1104(일) -11/07(수)
3. 장소 : ㈜코스모스악기 코스모스아트홀(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461-9) 4. 참가 지원 자격 : 만 13세 – 만 27세의 피아노, 바이올린, 성악, 클라리넷 전공자 또는 앙상블 단체 (입시생, 콩쿠르 및 유학 준비생)
5. 참가자 모집기간 : 10월 1일(월) ~ 10월 24일(수)
6. 제출 서류 및 참가비 1) 제출서류 (신청서 양식 '공지 페이지 하단' 첨부파일 다운로드) -학 생 : 참가신청서 , 학교장 또는 담당교사 추천서 -일반인 : 참가신청서 , 연주영상 제출(최근 1년 내의 연주 영상) 2) 참가비 -참가자 : 개인(팀)당 20만원 -청강생 : 청강비 5천원(*현장에서 현금결제)
7. 참가자 준비 프로그램
Ensemble
|
기악 앙상블 : 자유 프로그램 (30분
이상 넘어갈 시 악장 또는 모음곡 발췌가능)
피아노 듀오 : 1 Piano 4 hands 자유곡 15분 내외
|
Piano
|
협주곡을 제외한 15분 내외의 자유 프로그램(암보
필수)
|
Vocal
|
아리아 1곡 또는 가곡 2곡 또는 그에
상응하는 자유 프로그램
(반주자 필요시 개인 대동, 연주자 암보
필수)
|
Violin
|
15분 내외의 자유 프로그램(빈주자 필요시
개인대동, 연주자 암보 필수)
|
Clarinet
|
15분 내외의 자유 프로그램(반주자 필요시
개인대동, 연주자 암보 필수)
|
7. 마스터클래스 배정 시간 -팀 당 50분 내외, 마스터당 총 3명의 수강생 배정(마스터의 사정에 의한 인원 변동 발생할 수 있음) -기악 앙상블의 경우 한 팀당 1시간 30분 내외, 마스터 당 1팀 배정(마스터의 사정에 의한 인원 변동 발생할 수 있음)
8. 참고사항 -자체 기준 : 1) 추천인 , 2) 연주 및 입상경력 -참가 지원자 인원 초과시 신청 접수 조기 마감 가능, 신청자 중 마스터클래스 운영진에서 선별. -청강자는 만 7세이상 입장가능 (객석 만원일 시, 입장 불가) -모든 마스터클래스는 기본적으로 공개 진행, 비공개 클래스 요청은 별도 문의 9. 문의 및 서류제출 접수처 -전 화 : 070-4438-7735 -메 일 : apply@opuscorp.org -홈페이지 : www.simf.kr(신청서 다운로드) -입금계좌 : 신한은행 100-032-854902 (예금주: 서울국제음악제) -우편주소 : 서울시 서초구 서초대로 28길 11, 서울국제음악제 사무국
* 2018 마스터
Ensemble
|
랄프 고토니(Ralf
Gothoni)
피아노3중주
|
-핀란드, 독일 출신의 피아니스트, 지휘자
-길모어 아티스트상 수상, 오스트리아 문화부 수여 슈베르트 메달 수상, 스페인 여왕 수여 명예훈장
-잉글리시 챔버 오케스트라 수석 지휘자 역임
-시애틀 노스웨스트 챔버 오케스트라 음악감독역임
-현) 베를린, 함부르크, 헬싱키, 런던, 마드리드 음악학교 등에서 후학 양성 및 연주 활동
|

상하이 콰르텟
(Shanghai
Quartet)
현악4중주
|
-웨이강 리(바이올린), 이웬 지앙(바이올린),
홍강 리(비올라), 니콜라스 차바라스(첼로)
-베이징 국제음악제를 비롯, 프랑스 파블로 카잘스 페스티벌, 폴란드 베토벤 페스티벌 등에서 활발한 연주활동
-카네기홀, 링컨센터에서 요요마,유자 왕, 피터 제르킨, 장 이브 티보데 등과 협연
-현) 미국 몽클레어주립대학교 상주연주단체
베이징 센트럴 콘서바토리, 상하이 콘서바토리
객원 교수
|

빅터&루이스 델 발레
(Víctor & Luis del Valle)
피아노듀오
|
-제54회 ARD국제 음악경연대회 우승 및 특별청중상 수상, 제4회 국제 피아노 듀오 콩쿠르 우승 및 최고 모차르트 연주상 수상 외 다수의 국제콩쿠르 수상
-세비야 왕립 오케스트라, 바이에른 방송 교향악단, 뮌헨 쳄버오케스트라 등과 협연
-현) 스페인 마드리드 왕립 고등 음악 콘서바토리, 아라곤 고등 음악 콘서바토리 출강
|
Piano |
피터 라울(Peter Laul) |
-상트페테르부르크 콘서바토리에서 알렉산더 샌들러 사사 -1997년 브레멘 국제콩쿠르 1위 및 슈베르트 최고연주상 수상, 2000년 모스크바 스크리아빈 국제콩쿠르 1위 수상, 러시아 문화부 수여 명예 훈장 -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필하모닉홀, 프랑스 루브르박물관, 미국 링컨센터 등에서 리사이틀 -발레리 게르기예프, 막심 쇼스타코비치 등의 지휘자 및 모스크바심포니오케스트라, 마린스키 오케스트라 등과 협연 -현)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콘서바토리, Lyceum School출강 | Vocal |
시모 메키넨 (Simo Mäkinen) 테너 |
-핀란드 헬싱키 시벨리우스 아카데미에서 모니카 그루프, 안시 히르보낸 사사 -2008년 칸가스니에미 성악콩쿠르 3위 입상 -2010 핀란드 국립오페라 데뷔 이후 브리튼의 오페라 ‘앨버트 헤링’의 주역을 포함한 다수의 오페라 공연 -핀란드 바로크 오케스트라, 시벨리우스 아카데미 바로크 오케스트라 외 다수 연주단체와 협연 |
Violin | 
올리비에 샤를리에 (Olivier Charlier) |
-프랑스 파리음악원에서 피에르 두캉 사사, 장 위보 사사(실내악) -뮌헨 콩쿠르, 몬트리올 콩쿠르, 시벨리우스 콩쿠르. 자크 티보-에네스코 콩쿠르, 뉴욕 영아티스트 콩쿠르 석권 -로렌스 포스터 지휘의 몬테 카를로 필하모닉과 멘델스존 협주곡, 장 자크 칸토로우 지휘의 파리 앙상블 오케스트라와 생상 바이올린 협주곡 외 다수의 음반 녹음 -현) 파리 국립 고등음악원 교수 |
 김소옥(So-Ock Kim) |
-15세에 Shell/LSO 경연에서 최연소로 금메달 수상 -위그모어홀, 로얄 페스티벌 홀, 퀸 엘리자베스 홀 등 영국 주요 콘서트홀을 비롯한 펜테레츠키 음악제, 몽펠레음악제, 폴란드 베토벤 이스터 페스티벌 등 세계 각지에서 초청 연주회 -펜데레츠키, 블라디미르 아쉬케나지와 세계 연주 투어 참여 -현) 영국사립학교 Millfield School 현악 고문 영국왕립음악원 교수 | Clarinet |

미쉘 레티엑(Michel Lethiec) |
-펜데레츠키, 코릴리아노 등의 작곡가들의 작품 및 협주곡 초연 -바르셀로나 오케스트라, 이스라엘 챔버 오케스트라, 영국챔버오케스트라, 프랑스 라디오 필하모닉 등과 협연 -파블로 카잘스 페스티벌 예술감독 역임 -현) 파리음악원, 니스음악원 명예교수 제네바, 라이프치히, 프라하, 오사카, 윈헨, 함부르크 등의 국제콩쿠르 심사위원 |
|
회원에게만 댓글 작성 권한이 있습니다.